분류 전체보기22 http의 기본 포트 80, https의 기본 포트 443 많은 사용자들이 url에 포트 번호가 존재한다는 것을 잘 모른다. 또 url에 포트 번호를 딱히 적지 않아도 접속이 잘 되는걸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포트 번호를 생략하더라도 기본 포트로 약속된 번호들이 있어 해당 포트를 이용해 접속하기 때문이다. 1. 서론 인터넷 프로토콜은 http와 https가 있는데, 각각 80번과 443번 포트를 기본 포트로 사용하고있다. 이는 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와 관련이 있는데, IANA에서는 1990년 3월에 그 당시 알려져있던 모든 포트 번호를 기술한 문서(RFC 1060)을 만들었다. 아래와 같이 문서의 79번 다음에는 80번이 아닌 81번이 기술되어있었다. 그 당시에 80번 포트는 공식적으로 비워져있었던 것이다... 2022. 8. 25. 가비아에서 로드밸런서 세팅하기 로드밸런서란? "서버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켜 증가하는 트래픽에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프로젝트에 포함된 즉석당첨 이벤트로 인해 다른 프로젝트 대비 트래픽이 많이 발생될 것이 예상되었다. 이로 인한 서버 다운을 막는 방안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단일 서버만으로 서버 자체의 용량을 크게 구축하여 트래픽을 감당하는 것과 다중 서버를 로드밸런서를 이용해 트래픽을 나눠주는 방법이다. 첫번째는 로드밸런서를 대여하는 추가비용이 들지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비아에서 처음 서버 대여후에는 서버의 용량이나 SSD냐 HDD냐의 옵션 등을 다시 선택할 수 없고 그로인해 처음 세팅시에 트래픽을 임의로 예상하여 세팅해야 하기때문에 실제 트래픽보다 서버 용량을 적게 세팅하거나 크게 세팅하여 서버 다운이.. 2022. 8. 25. 이전 1 ··· 3 4 5 6 다음